포킹룸 <부재하는
데이터셋>인공지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데이터셋에 대한 9작품의 전시 그리고 토크와 강연
올해의 포킹룸은 <부재하는 데이터셋>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학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데이터셋(Dataset)을 다룹니다. 데이터셋은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데이터의 더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데이터셋을 통해 세계는 수집되고 분류되며 인코딩되어 인공지능에 학습됩니다. 포킹룸에서는 여러 양식의 데이터셋 중, 시각 데이터셋에 보다 집중합니다. 이러한 머신 비전 훈련 데이터셋은 대부분 방대한 양의 디지털 사진 및 영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런 데이터셋을 통해 기계는 대상을 '이해하고 볼 수' 있게 됩니다.
우리가 체감하듯 인공지능의 예측과 추론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셋의 생성은 단순히 컴퓨터 과학만의 과정이 아니며, 그 제작과 적용의 내, 외적 과정에는 수없이 많은 사회정치적, 문화적 이슈들이 개입될 수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셋의 사진과 영상은 사적이고 역사적인 맥락 혹은 문화예술적 재현과 기록의 의미를 벗어나 특정 기계 학습의 목적으로 수집되고 재분류 되어 주석이 달리는, 전혀 다른 속성의 매체로 다루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데이터셋을 들여다보는 것은 한 시대가 마주하는 새로운 기술적 관습을 둘러싼 문화정치적 함의를 바라보는 것이면서, 우리가 인지해 왔던 문화적 예술적 관점을 재조정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부재하는 데이터셋>은 예술적 아카이브와 컴퓨터 과학적 데이터 더미의 경계를 흐리며 현재 생성되어 가는 세계를 데이터셋을 통해 바라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셋을 사고하는 과정 자체가 세계가 어떠한 계산적 속성과 함께 조정되고 있는지, 그 속에 가려지거나 부재하는 것들은 무엇인지를 생각해 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를 위해 3월 5일 7시 온라인 줌을 통해 쇼드 데르 보흐 작가와의 토크를 통해 ,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바라보고 분석하는 다른 차원의 접근을 볼 수 있는 배제의 미학 (Aesthetics of Exclusion) 프로젝트를 중심에 두고 이야기 나눕니다.
또한 3월 6일에는 <대규모 데이터셋과 데이터 과학에 비판적으로 개입하려면 :사회이론들과 성찰적 컴퓨터 과학 연구들>이란 제목으로 오요한 연구자의 강연을 통해서는 인공지능의 외면적 성과로는 쉽사리 드러나지 않는 데이터셋의 문제를 바라보기 위해 우리는 어떤 근거와 생각의 틀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까에 대해 알아봅니다.
또한
탈영역 우정국에서 열리는 전시에서는 오픈콜에 응답한 25작품 중 4작품과, 초대작 5작품을 포함 총 9작품이 선보입니다. 최근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는 '데이터화 된 불평등'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소원영의 <결격 사유가 발견되었습니다>, 50-70년대의 가부장 질서 속에서도 은밀하게 드러나는 주체적 여성 캐릭터의 모습을 아카이빙 하기를 통해 다른 데이터셋에 대한 상상을 촉발하는 신시가지의 <새로운 맹서>, 인공지능의 모호한 훈련 과정을 오히려 새로운 개념을 구체화할 수 있는 과정으로 만든 잉어의 <어베일러블러>, 얼굴 표정 데이터셋을 통해 감정 인식 분류 기준이 다른 것들과의 충돌 속에서 얼마나 다르게 드러날 수 있을지를 보여주는 장윤영의 <당신은 이 사람의 감정을 알 수 있나요?>, 머신 러닝이라는 당도한 미래 이면에서 실재의 미래를 만들어 가고 있는 곳은 어디인가를 이야기하는 미미 오누오하의 <미래는 여기에 있어!>, 거리의 위험도를 측정하는 연구를 배경 삼아 아이러니한 데이터셋팅의 플랫폼을 만든 쇼드 데르 보흐의 <스트릿스와이프>, 동사적 행위로 분류된 데이터셋에 새로운 시간성과 장식성을 부여해 기이함의 흐름으로 바꾸어 놓은 에베레스트 핍킨의 <레이스워크>, 온갖 불확정적 의미로 가득한 몸짓이라는 생체 신호를 감시적 분류로 학습시키는 것에 대해 질문하는 카이루스의 <의심스런 행동>, 객체 인식을 구성하는 이미지들을 역으로 보여줌으로써 인공지능에 대한 이면적 관찰의 세계로 이끄는 필립 슈미트의 <분류해제기>, 이들 9작품이 구축하는 데이터셋의 다른 의미망을 탐색해 보길 바랍니다.
토크
배제의
발표자: 쇼드 데르 보흐 Sjoerd ter Borg
미학 Aesthetics of Exclusion일시: 3월 5일(금)
오후 7시장소:
온라인 줌(ZOOM)자세히 보기: https://bit.ly/3alEtgH
신청하기: http://bit.ly/3ubavUH
강연
<대규모 데이터셋과 데이터 과학에 비판적으로 개입하려면 : 사회이론들과 성찰적 컴퓨터 과학 연구들>
강연자 :
오요한일시: 3월 6일(토)
오후 2시장소:
온라인 줌(ZOOM)자세히 보기: https://bit.ly/3alEtgH
신청하기: https://bit.ly/3ppFUic
진행: 언메이크랩
후원:
탈영역우정국문의: forkingroom@gmail.com
웹사이트: www.forkingroo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