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소정은 영상, 사운드, 조각, 출판 등 다양한 매체 실험을 통해 역사와 현재에 관한 새로운 인식을 환기시키는 비선형적인 시공간을 창조해 왔습니다. 물리적 경계의 전환이 일상의 감각적 경험을 관통하는 방식에 관심을 가지며 작가는 동시대의 속도감 속에서 배제된 인물의 목소리, 풍경, 시간을 탐구하는 여정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전소정의 프로젝트 《그린 스크린》은 리움 로비 공간에 놓인 미디어월을 매체이자 장치로 고려하며, 경계에 관한 감각을 다루는 세 편의 작품 <그린 스크린>(2021), <이클립스>(2020), <먼저 온 미래>(2015)를 소개합니다. 《그린 스크린》이 소개되는 미디어월은 전시 공간에서 벗어난, 미술관의 여러 공간들을 연결하는 통로이자 임시적 모임의 아케이드입니다. 전소정은 불완전한 전시 공간인 미디어월을 현실에 배치된 허구적 공간 즉, ‘포털, 웜홀, 축지법, 사차원 시간 여행’과 같은 시간을 운용하고 감각을 극대화하는 장치로 고려합니다. 이는 동명의 작품 <그린 스크린>(2021)에서 가능성을 가진 중간지대이자 틈으로서 DMZ의 풍경을 바라보는 사유와 조응합니다.
세 작품은 미디어월의 타임라인 안에서 서로 반향을 일으키도록 구성됩니다. <이클립스>는 작곡가 윤이상의 삶과 음악을 모티브로 분단과 경계를 둘러싼 내부와 외부의 시선을 교차시킵니다. <먼저 온 미래>는 남과 북의 연주자가 대화와 합의를 통해 공동의 곡을 완성하는 순간을 포착하고 있으며, <그린 스크린>은 이 일회적이고 기념비적인 연주를 위한 지대가 되어줍니다. 아직 도래하지 않은 미래의 시간을 현재로 끌어 들이는 <먼저 온 미래>, 현실과 인식에 파열을 만들어내는 <그린 스크린>, 경계의 감각을 미끄러지는 이미지로서 사유하는 <이클립스>는 미디어월 안에서 서로 포개어져 비선형적 시공간을 가설(假設)합니다. 이렇게 만들어낸 허구적 현실은 경계의 감각을 진동시키며 그 틈을 가격(加擊)합니다.
참여작가: 전소정
출처: 리움
* 아트바바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의 저작권은 각 작가와 필자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