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영 개인전: Dust 먼지

봄화랑

Aug. 25, 2023 ~ Sept. 23, 2023

봄화랑은 2023년 하반기의 첫 전시로 이은영 작가의 개인전 《먼지》를 개최한다. 봄화랑에서의 두 번째 개인전인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아홉 점의 신작 도자 조각을 선보인다.

접힘과 주름은 명백히 이번 전시에 선보인 이은영 작가의 작업 전반을 휘덮고 있는 모티프이다. 비교적 아담한 크기의 작품들이지만 모두 크고 작은 접힘과 주름들을 통해 강한 힘과 대면했던 사건을 증언하고 있다. 특히 도자(흙)라는 재료의 특성으로 인해 심지어 어떤 방향으로 어느 정도 크기의 힘을 받았을지를 상당히 정확하게 짐작할 수 있을 정도이다.

조금 더 흥미로운 부분은 주름의 세부이다. 주름과 주름 사이에는 수없이 더 많은 주름들이 있으며, 자세히 관찰할수록 우리는 그곳이 단순히 접혀지고 주름진 곳이 아니라 터지고 갈라졌으며 찢겨진 장소임을 알 수 있게 된다. 특별한 재료와 안료를 흙에 섞어 넣음으로써 작가는 주름의 세부가 더욱 잘 드러나도록, 그리하여 우리의 시선이 그러한 세부에 더 잘 가닿을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아마도 더욱 중요한 지점은, 주름의 안쪽, 완전히 접혀서 우리의 시선이 전혀 가닿을 수 없는 부분이 있다는 것일 테다. 만약 그곳에 무엇인가가 있었다면? 이러한 생각이 과도한 비약이 아님을 전시장 입구에 놓인 <접힘 3>이 증명해준다. 보이지는 않지만, 굵은 주름 사이 안쪽에도 여전히 노란색 하트가 분명 그려져 있지 않겠는가. 

이렇듯 접힘과 주름은 결국 사라진 것들, 감춰진 것들, 잊혀진 것들에 대한 환유로써 드러난다. 동시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사라지고 잊혀진 것임을 비유적으로 드러내는 일이기도 하다. 전시의 제목 ‘먼지’가 지시하고 있는 지점도 바로 여기일 것이다. 하찮고 미약하여 감춰지고 잊혀진 것들이 존재하는 곳. 그곳의 주름들이 펼쳐진다면 그것들을 다시 되찾을 수 도 있고, 온전함을 잃어버렸다고 하여도 어쩌면 더 많은 의미와 새로운 이야기들이 만들어 질 수도 있을 것이다. <접힘 1>처럼 시공간을 뛰어넘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잊혀진 것들의 위상학은 이렇게 작동한다.

이은영은 시적 은유와 공감각적 시각화라는 다층적 탐구를 통해 실제 했으나 사라진 것에 대한 심상을 조형화하는 방식과 그 의미를 탐색한다. 도자를 중심으로 한 조각, 설치 작업과 더불어 감각적인 필체의 드로잉에 의한 비선형적인 서사의 발생 가능성에 주목한다. 영남대학교에서 미술학부 서양화 전공, 프랑스 니스의 빌라 아르송 국립고등미술학교에서 학사와 석사과정을 졸업한 후 스위스 제네바의 고등미술디자인학교에서 CERCCO 석사연구과정을 마치고 2015년 한국으로 돌아와 현재 서울에서 거주 및 작업 중이다. 리씨뇰-슈발리에 갈랑드 기금(2013, 제네바 현대미술재단), OCI Young Creatives(2015, OCI미술관), 하정웅 청년작가(2018, 광주시립미술관) 등에 선정되었으며, 국내외에서 다양한 단체전 참여와 함께 팔레 드 라테네(2015, 제네바), OCI미술관(2016, 서울), 인사미술공간(2018, 서울), 아마도예술공간(2019, 서울)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다. 제네바 현대미술재단과 OCI미술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참여작가: 이은영

출처: 봄화랑


* 아트바바에 등록된 모든 이미지와 글의 저작권은 각 작가와 필자에게 있습니다.

현재 진행중인 전시

사후의 삶

Sept. 22, 2023 ~ Oct. 12, 2023

A tempo 아템포

Sept. 13, 2023 ~ Nov. 29, 2023

문질문질문

Sept. 19, 2023 ~ Oct. 28, 2023

김아름 개인전: 물의 ƒ

Sept. 19, 2023 ~ Oct. 10, 2023